하마스 근거지인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지상군 투입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스라엘 정부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력상 압도적으로 우세한데도 왜 그런 걸까요. <br /> <br />군사력을 보면, 병력 기준 이스라엘 60만여 명, 하마스 최대 3만 명으로 20대 1입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은 비공식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고, 전투기 약 600대와 탱크도 2천여 대도 운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하마스는 사거리가 짧은 다연장 로켓 위주 전력이 전부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 진입에 나서기 쉽지 않은 배경에는 우선 인질 문제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가자 지구 민가를 공격할 때마다 이스라엘에서 납치한 인질을 한 명씩 살해하겠다며 하마스가 인간 방패로 삼고 있는 만큼,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겁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고민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 지도부가 정확히 어디 있는지 파악하기도 어려울뿐더러, 가자 지구 내 지하 터널을 요새화하고 있는 하마스를 상대하기가 까다로울 것이란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[이원삼 / 선문대학교 정치국제학과 명예교수 : 하마스도 몇 번의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거든요. 그러다 보니까 땅굴로 많이 요새화되어 있습니다. 땅굴로 해서 지하 4, 5층까지 다 되어 있다고 했거든요. 지금 지상군이 들어갈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. 사제 폭탄을 이용해서 저번에 이스라엘이 들어갔을 때도 그 사제 폭탄에 의해서 피해를 많이 봤거든요. 그런 것들을 계속 계획하고 있을 겁니다.] <br /> <br />작전에 성공해 가자 지구를 점령한다고 해도 그 다음이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또 다른 저항 세력, 그러니까 제2, 제3의 하마스가 나타날 가능성이 농후한 데다, <br /> <br />200만 명이 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관리할 수도 없을뿐더러, <br /> <br />국제 사회로부터 그간 지지를 받아온 '두 국가 해법'에도 배치돼 결국에는 철수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성일광 / 고려대 중동·이슬람센터 교수 : 재점령하는 것은 이스라엘-팔레스타인 평화 과정의 퇴행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엄청난 국제 사회의 비난, 미국의 비난을 살 것이고요. 230만 명이나 되는 가자 지구 주민을 이스라엘이 통치해야 되는 상황입니다. 일자리와 주민들의 하루하루 생계를 이스라엘 정부가 책임져야 하는 것인데요. 스스로 지겠다고 하진 않을 것 같다는 거죠.] <br /> <br />이스라엘 정부는 자국민의 공분이 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01216420334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